한계비용 뜻
생산량을 1 단위 늘리는 데 드는 추가적인 비용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체품하나를 더 생산하는 데 드는 추가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 10개를 생산하는 데 총비용이 100달러라고 합니다. 그리고 제품 11개를 생산하는 데 총비용이 110달러라면, 제품 1개를 더 생산하는 데 드는 한계비용은 10달러입니다.
한계비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한계비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수확체감의 법칙 때문입니다.
2. 한계비용은 생산량 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므로, 총비용을 계산할 때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3. 기업은 한계비용이 시장가격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한계비용은 기업의 생산 및 가격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계비용은 서비스를 한 다누이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합니다. 즉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면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입니다. 추가로 생수 한 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이라면 생산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80원, 102병째의 한계비용은 70원이 됩니다.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가도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따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생산의 목적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면 반드시 한계비용의 움직임을 살펴보아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수학적으로 어떤 함수값(총비용)의 최소는 변수(생산규모)의 미분값이 0이 되는 곳에서 결정되는데, 한계의 개념은 바로 미분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상기하면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하면서 한계비용은 점차 줄어들다가 어느 생산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한계효용 이란?
재화나 서비스를 1단위로 더 소비했을 때 얻게 되는 추가적인 만족감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제품 하나를 더 소비했을 때 얻게 되는 효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는다고 생각해 봅시다. 처음 1개를 먹으면 매우 큰 만족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2개, 3개를 먹을수록 그 만족감은 점점 줄어듭니다. 이처럼 아이스크림을 1개씩 더 먹을 때마다 얻는 추가적인 만족감이 줄어드는 것이 바로 한계효용의 개념입니다. 한계효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재화나 서비스를 더 많이 소비할수록 한계효용은 감소합니다. 이를 '한계효용 체감의법칙'이라고 합니다.
2. 한계효용으 0이 되는 지점이 최적 소비 수준이 됩니다.
3. 한계효용은 개인의 주관적인 만족감이므로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계효용은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됩니다.
수확체감의 법칙
생산요소의 투입량은 늘어날수록 생산량이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생산량 증가폭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처음에는 투입요소를 늘릴수록 생산량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농장에 노동력을 더 투입하면 수확량이 늘어납니다.
2.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 투입하면 생산량 증가폭이 점점 작아집니다. 예를 들어 농장에 노동력을 너무 많이 투입하면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결국 어느 시점에 가면 추가 투입요소로 인한 생산량 증가가 거의 없어집니다. 이것이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되는 지점입니다.
즉 생산요소 투입량과 생산량 간에는 일정 수준 이상에서 체감적인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이 수확체감의 법칙의 핵심 내용입니다. 이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됩니다.
어떤 생산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자본, 노동, 토지 등의 생산요소 가운데 자본과 토지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노동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생산물 전체는 증가하지만 추가로 투입되는 노동량 1 단위당 생산물의 증가는 차차 감소한다는 법칙입니다.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returns)은 원래 농지에서 작업하는 노동자 수의 증가에 대한 1인당 수확량의 증가와 관련된 것이었으나 이후 모든 산업부문에서 특정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고정된 단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확정되었고 '한계생산력 체감의 법칙'으로 일반화되었습니다.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축 통화정책 뜻 (0) | 2024.07.12 |
---|---|
파레토 최적의 법칙 이란? (0) | 2024.07.12 |
공급탄력성 이란 수요탄력성 뜻 (0) | 2024.07.12 |
공매도란? 공매도 뜻 (0) | 2024.07.12 |
블록체인이란 탈중앙화 뜻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