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발표 후 '어닝쇼크'를 알리는 기사가 많이 나왔습니다. 경제 뉴스에서 한 번쯤은 들어본 용어인데요. 하지만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있을 것 같아 정확히 무슨 뜻인지, 왜 중요하고 우리가 알아야 하는지 한번 배워볼게요!
어닝쇼크 뜻
기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나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갑작스러운 경제 위기, 공급망 문제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닝쇼크는 실적 발표에 따라 시장 변동을 예측하고 투자 전략을 조정할 기회로서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신호입니다.
어닝쇼크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 예상치보다 훨씬 낮을 때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어닝'은 기업의 실적, 매출이나 이익을 뜻하며, '쇼크'는 예상치와 큰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의미합니다.
이와 반대로 기업 실적이 시장 예상치보다 좋은 '어닝서프라이즈'라고 합니다. 이 용어는 분기별 실적 발표가 집중되는 어닝시즌에 자주 사용됩니다.
어닝쇼크 발생 원인
먼저 갑작스러운 경제 위기나 침체, 글로벌 이벤트로 인해 기업의 매출이나 이익이 예상보다 저조할 때 실적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내부의 경영 실책, 공급망 문제 등도 어닝쇼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2022년 넷플릭스는 구독자 감소와 함께 OTT플랫폼 경쟁 심화로 인해 어닝 쇼크를 겪었으며 이는 주가 급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실제 사례
☑️삼성전자
2024년 3분기 매출 79조 원, 영업이익 9.1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275%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실적이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고, 이에 따라 삼성전자 주가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 DS부문 부회장은, 투자자와 임직원을 대상으로 사과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페이스북(메타)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예상보다 저조한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애플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 변경과 틱톡과 같은 경쟁자들의 부상으로 광고 수익이 급격하게 떨어졌습니다. 이에 페이스북 주가 역시 20% 이상 떨어지며 어닝쇼크를 경험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아마존
2021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시장 예측을 크게 밑도는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기간 이후 예상보다 느린 성장과 공급망 차질, 인건비 상승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는 5% 이상 하락하며 어닝 쇼크를 맞았습니다.
☑️애플
2018년 4분기, 애플은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 판매 부진을 겪으며 매출이 예상보다 크게 낮았습니다. 이에 따라 주가는 10% 이상 급락하며 큰 어닝쇼크를 경험했습니다.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는 실적이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음을 나타내며, 기업의 재무 상황이나 외부 환경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조심해야 할 시기를 알려주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어닝서프라이즈는 긍정적인 시장의 신호로, 예상보다 좋은 실적이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용어 정리
*어닝쇼크 :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크게 저조할 때 발생하는 현상
*어니미스 : 기업 실적이 시장 예상보다 약간 낮을 때 발생하는 현상
*어닝서프라이즈 :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훨씬 좋을 때 발생하는 현상
*어닝시즌 : 분기마다 기업들이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
지금까지 어닝쇼크 뜻에 대해서 자세하게 정확하게 확인해 보았습니다. 시장이 보내는 신호를 이해하고 잘 분석한다면 투자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트리온 주가 전망 핵심 정리 (4) | 2024.11.11 |
---|---|
감가상각비 뜻 계산방법 내용연수 쉽게 정리 (4) | 2024.11.11 |
코스피 코스닥 차이 나스닥 뜻 쉽게 정리 (9) | 2024.08.31 |
대체재와 보완재 특징 뜻 쉽게 정리 (0) | 2024.08.21 |
CPI 뜻 PCE 물가지수란 뜻 쉽게 정리 (0) | 2024.08.15 |